지난 글에서 바나노($BAN)를 초간단하게 소개해 봤는데, 이번에는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바나노 채굴에 대해 적어보고자 합니다. 채굴이라고는 하지만, 다른 POW(작업 증명) 블록체인처럼 거창한 장비는 필요 없습니다. 저도 집에서 놀고 있는 2015년산 맥북 에어로 돌리고 있으니까요. 물론 아주 소량을 받고 있지만요...
Folding @ Home(F@H), 집에서 접기 프로젝트는 전 세계에서 놀고 있는(?) 컴퓨팅 파워를 모으고 모아 하나의 슈퍼컴퓨터를 만들어 각종 질병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단백질 접기(Protein folding) 시뮬레이션에 컴퓨팅 파워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렇게 세계 각지에서 모아진 컴퓨팅 파워는 접기에 집중적으로 이용된다고 하네요. 현재 알츠하이머, 파킨슨 병, 그리고 최근의 코로나19까지 여러 질병 연구 프로젝트에 F@H의 컴퓨팅 파워가 쓰이고 있습니다.
F@H 프로젝트 자체가 바나노와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폴딩 프로젝트에 팀 단위로 참여해서 포인트를 모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계의 바나노 이용자들이 한 팀으로 기여하며 그 안에서 기여도에 따라 자체적으로 바나노를 하루 2회 지급하는 것입니다.
F@H 프로그램을 통해 바나노를 얻으려면 익명 기여가 아닌 바나노 팀을 통해 기여해야 합니다. 위의 바나노 광부 사이트에서 본인의 바나노 주소(바나노를 지급받을 주소)를 입력하면 이름(username)과 팀 번호를 받습니다. 이제 F@H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고, 작업을 시작할 때 바나노 광부에서 받은 이름과 팀 번호를 입력하면 작업량에 따라 일정량의 바나노를 받게 됩니다. 바나노는 매 12시간 지급되며, 첫 작업 완료부터 첫 수령까지 24시간 정도가 걸릴 수 있으니 처음에는 조금 기다려 주세요. 매일 UTC 12시, 0시 쯤에 지급됩니다.
개인 암호와 비슷한 패스키를 입력하면 점수를 조금 더 얻을 수 있다고 하니, 위에서 받은 이름을 입력하고 이메일로 패스키를 받아서 사용해 보세요. (패스키 받는 곳)
그 외에도 좀 더 전통적인(?) 채굴 방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Boom POW가 있는데, 기본적인 세팅이 필요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웹사이트(https://bpow.banano.cc)에서 "Request Work" 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작업 자체는 워낙 간단한 연산이라,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바나노 보상을 받으려면 컴퓨터 사양보다는 인터넷 속도와 지리적 위치가 중요합니다. 핀란드 헬싱키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고 하는데... 전 한나절 정도 돌려 봤는데 어림없더라고요...
그래서 이렇게 모은 바나노로 뭘 할까요? 다음 글에선 그 얘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잉 카드] 이것을 모으기로 했다. 첫 구매 4종 (0) | 2022.09.18 |
---|---|
바나노($BAN)란 무엇인가 (0) | 2021.12.10 |
깔끔하고 좋은 OTP 앱 추천 (0) | 2021.11.10 |
MacBook Air 사망 후기 (1) | 2019.07.20 |
MacOS | AppCleaner (0) | 2018.12.01 |